728x90 반응형 Study/SpringBoot34 Gradle 빌드하기 (SpringBoot) # Gradle 빌드도구의 한 종류. 그 외 대표적인 빌드 도구로 maven이 있다. Groovy언어 기반 maven에 비해 작성과 관리가 쉬움 유연성, 성능 등 측면에서 maven 보다 장점을 갖고 있다. (https://gradle.org/maven-vs-gradle/) # 빌드 소스코드를 컴파일, 테스트, 배포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 컴파일 -> 바이너리코드 -> 테스트 -> 압축 (jar, war) -> 배포 #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 build.gradle 내용 보기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Initializer) Project Metadata 설정 ( Type 을 Gradle Project로 지정 ) dependencies 는 선택하지 않고 넘어감. 프로.. 2022. 6. 24. [Gradle] 인텔리제이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프로젝트 유형을 그레이들로 선택한다. 이후 ArtifactId 와 GroupId를 등록한다. 이 설정이 끝나면 그레이들 기반의 자바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그래이들 = 빌드 도구 그렇다면 그레이들 Gradle 이란 무엇일까? 위키백과에 대략적으로 서술된 내용에 따르면 그래이들은 Groovy를 이용한 빌드 자동화 시스템이다. 빌드 자동화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코딩을 잘 짜여진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하며, 믿을 수 있는 결과물도 생산해 낼 수 있는 일련의 작업방식 및 방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 1) 빠른 기간동안 계속해서 늘어나는 라이브러리의 추가와 2)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쉽게 동기화 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초.. 2022. 6. 23. [Spring Boot] JPA 동적 검색 (QueryDsl) # JPQL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는 JPA(Java Persistence API)의 일부로 정의된 플랫폼에 독립적인 객체지향 쿼리 언어이다. JP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엔티티에 대한 쿼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JPA는 엔티티 객체를 중심으로 개발하므로 SQL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검색쿼리를 사용할 때는 SQL을 사용해야 한다. SQL의 영향을 받아 SQL과 비슷하나, DB 테이블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닌 JPA 엔티티에 동작한다. 그래서 JPQL의 쿼리에는 테이블이 아닌 엔티티에서 사용되는 컬럼의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 SQL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함 * JPQL :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함 # JPQL로 검색을? 웹 어.. 2022. 5. 16. [Spring Boot] @NotNull, @NotEmpty, @NotBlank 의 차이점 및 사용법 @NotNull, @NotEmpty, @NotBlank 의 차이점 앞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예외처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NotNull & @NotEmpty & @NotBlank 는 사용법은 매우 유사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NotNull 우선 @NotNull 은 위에 살펴본 것 처럼 이름 그대로 Null만 허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 이나 " " 은 허용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 (초기화된 String) )이나 " " (공백) 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Null 이 들어오게 되면, 로직에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하거나 문제가 생길 경우 사용해야 합니다. 즉, 초기화나 공백의 값이 들어와 저장은 되야하지만 Null 로 들어온 경우 오류가 나는 변수를.. 2022. 5. 10.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