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udy/SpringBoot34 알아두면 쓸데있는 LDAP 들어가며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등장한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IT 환경에 맞춰 변화를 거듭하면서 현재도 기업 시스템과 보안 서비스에서 사용자 관리 및 인증에 사용되는 등 여전히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아티클에서는 LDAP 기술과 활용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LDAP 개요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란 네트워크 상에서 조직이나 개인, 파일, 디바이스 등을 찾아볼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LDAP가 등장하기 전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인 X.500의 DAP(Directory Access Protocol)가 존재했지.. 2024. 2. 1. 계층형 디렉토리 패키지 구조 계층형 디렉토리 패키지 구조 계층형 디렉토리 패키지 구조는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Web Layer: 사용자의 요청과 이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처리가 일어나는 Layer 2. Service Layer: 실제 비지니스 로직이 일어나는 Layer로 Web Layer와 Repository Layer 사이에 있는 Layer 3. Repository Layer: DB와 통신하는 Layer 계층형 구조의 장점 1,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층형 구조의 단점 1. 각각 패키지 디렉토리에 클래스들이 너무 많이 모이게 됩니다. 도메인형 디렉토리 패키지 구조 계층형 디렉토리와 달리 Domain 들을 중심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도메인형 디렉토리 패키지 구조 도메인형 디렉토.. 2024. 1. 22. @RequestBody로 String 타입을 받는 경우 Troubleshooting 발생한 문제 @PostMapping("{id}") public boolean checkPassword(@RequestBody String password, @PathVariable long id) { System.out.println("password = " + password); return blogService.checkPassword(id, password); } 요청 결과 위 json 데이터를 요청 보내면 코드 상으로 password 값에 pw가 String 타입으로 있을 거라고 기대했지만 josn 형태로 그대로 들어가있다. 해결 과정 보통 아래의 코드처럼 User 객체를 json 형태로 보냈을 때 user.getName() 의 반환값으로 "wisdom" 이 Strin.. 2023. 2. 16. [SpringBoot] 스프링 부트 Gradle 빌드에서 .jsp와 jstl 적용 1) 프로젝트 생성 다음 순서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2) main 밑에 디렉토리 생성 webapp/WEB-INF/jsp 3)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spring.mvc.view.prefix=/WEB-INF/jsp/ spring.mvc.view.suffix=.jsp 4) build.gradle 설정 implementation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implementation 'javax.servlet:jstl' Reference : https://developer-rooney.tistory.com/152 2022. 11. 14.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