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tudy364

[Spring] 스프링 트랜잭션이란? 1. 트랜잭션? 여러 과정을 하나의 행위로 묶을 때 사용된다. 여러 단계를 수행했을때, 하나라도 실패하면 모두 취소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모두 반영하거나 반영하지 않음. 2. 스프링의 트랜잭션 지원 선언적 트랜잭션 지원. 트랜잭션의 범위를 코드 수준으로 정의 가능, 설정 파일 or 애노테이션을 이용한 규칙 및 범위 설정 가능 2.1. PlatformTransactionManager 트랜잭션은 Platform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추상화 했다. DB연동 기술에 따라 각각의 구현 클래스가 제공된다. 실제 트랜잭션 처리할 때 Platform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진 않는다.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으로 처리한다. 2.2. JDBC.. 2021. 11. 3.
트랜잭션이란? 1. 개요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 일반적인 컴퓨터 과학에서는 쪼개질 수 없는 업무처리의 단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2. 트랜잭션의 성질 원자성 : 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은 하나로 간주한다. 즉 목두 성공 혹은 모두 실패다. 일관성 : 트랜잭션은 데이터 인터그리티 만족등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한다. 격리성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격리한다. 지속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결과는 항상 저장된다. 3. 개발에서의 트랜잭션 DB 접근이 발생하는 여러 단위 작업들을 의미있는 그룹으로 묶어서 일괄 커밋 또는 일괄 롤백하는 매커니즘을 뜻한다. 1. 프레임워크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을 사용하거나 지원한다. .. 2021. 11. 3.
RESTful에 대해..(REST, RESTful, RESTful API 개념 정리) REST란? REST는 분산 시스템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아키텍쳐 스타일이라는건 쉽게 말하면 제약 조건의 집합이라고 보면 된다. RESTful은 무엇인가? RESTful은 위의 제약 조건의 집합(아키텍처 스타일, 아키텍처 원칙)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REST라는 아키텍처 스타일이 있는거고 RESTful API라는 말은 REST아키텍처 원칙을 모두 만족하는 API라는 뜻이다. 우리가 REST와 RESTful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곤 하는데 엄격하게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ST가 필요한 이유? 1.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분산 시스템을 위해서다. 거대한 애플리케이션을 모듈, 기능별로 분리하기 쉬워졌다. RESTful API를 서비스 하기만 하면 어떤 다른 모듈 또는 애플리케.. 2021. 11. 3.
[Spri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 Spring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와 Restful 웹서비스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의 주요한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2가지 어노테이션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troller(Spring MVC Controller) [Controller - View]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Spirng MVC Container는 Client의 요청으로부터 View를 반환한다. S.. 2021. 11.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