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tudy364

[MySQL] DATE, DATETIME, TIME, TIMESTAMP 차이 ▶ DATE 타임 DATE 타입은 날짜를 포함하지만 시간은 포함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타입이다. DATE 타입 YYYY-MM-DD 형식 입력가능하며 '1000-01-01' 부터 '9999-12-31'만 입력 가능하다. ▶ DATETIME 타입 DATETIME 타입은 날짜와 시간을 모두 포함할 때 사용하는 타입이다. MYSQL에서는 YYYY-MM-DD HH:MM:SS 형식 입력으로 '1000-01-01 00:00:00' 부터 '9999-12-31 23:59:59'까지 입력간으하다. ▶ TIME 타입 TIME 타입은 HH:MM:SS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담는 타입이다. TIME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는 -839:59:59 ~ 838:59:59 까지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은 날짜 중 DAY의 값을 표.. 2021. 11. 11.
Entity, DTO, VO 알아보기 1. Entity란? Entity 클래스는 실제 DataBase의 테이블과 1 : 1로 매핑 되는 클래스로, DB의 테이블내에 존재하는 컬럼만을 속성(필드)로 가져야한다. Entity 클래스는 상속을 받거나 구현체여서는 안되며, 테이블내에 존재하지 않는 컬럼을 가져서도 안된다. Entity 클래스 또는 가장 Core한 클래스라고 부른다. 최대한 외부에서 Entity 클래스의 getter method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당 클래스 안에서 필요한 로직 method을 구현 해야하고, Domain Logic만 가지며 Presentation Logic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구현 method는 주로 Service Layer에서 사용한다. 1.1 Entity, DTO Class 분리 이유 Entity와 DTO를.. 2021. 11. 9.
[DB] 이중화 HA, OPS, RAC 구성 1. HA(High Availability) 구성 HA(High Availability)는 2개의 서버를 이용하여 하나는 active, 나머지 하나는 Standby상태로 정해놓는다. Active상태의 서버가 모든 부하를 담당하며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Standby 서버가 Active가 되면서 다시 서비스를 정상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이다. 별도의 스토리지를 가지고 있기에 수시로 동기화가 이뤄져야 한다. 문제점으로는 서로 싱크가 맞지 않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Active 서버 서비스가 멈추면 Standby 서버가 활성화 될 때 트랜잭션들이 모두 유실된다는 것이다. 실시간 트랜잭션량이 많은 서비스에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HA 솔루션이 갖추어야 할 기본 기능으로는 A. 데이터 복제 기능 - 1번 서.. 2021. 11. 8.
[Java] Reflection Java Reflection 정의 리플렉션이란 객체를 통해 클래스의 정보를 분석해 내는 프로그램 기법을 말한다. (투영, 반사 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면 BeanFactory라는 Spring Container 개념을 학습하게 된다. 이 BeanFactory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한 후 객체가 호출 될 당시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는데 그 때 필요한 기술이 Reflection이다. 자바는 스크립트 언어가 아닌 컴파일 언어이다. 물론 .java -> .class -> 실행이라는 2단계의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만 컴파일 언어로 분리하는 게 옳다. 원래 자바 에서는 동적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기술이 없었다. 그리고 동적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Reflection으로 그 역할을 .. 2021. 11.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