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udy364 페이징 QueryDSL 일전에 JPA를 알아보면서 QueryDSL이 복잡한 쿼리를 구성하기에 좋은 라이브러리 란 것을 보았다. 다음 링크들을 참조해서 본 프로젝트에 적용 해보았다. 참고링크 -maven 프로젝트 querydsl 적용 https://engkimbs.tistory.com/828 -Query Dsl이용한 페이징 API 만들기 http://bitly.kr/SYuvO5n48 -이동욱님 , Spring Boot Data Jpa 프로젝트에 Querydsl 적용하기 https://jojoldu.tistory.com/372 -Spring Data JPA와 QueryDSL 이해, 실무 경험 공유 (개인적으로 많은 도움이 된 글입니다.) https://ict-nroo.tistory.com/117 1. Querydsl 의존성 추가 .. 2022. 5. 13. Git Merge와 Rebase의 차이 0. 서론 그동안 git을 사용하면서 소수의 인원으로 같이 일할때는 push, pull, merge만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git history도 손보지 않아도 될만큼 깔끔 했죠.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팀에 합류하면서 8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git 저장소를 보며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모두 push, pull, merge만 사용하다보니 git history도 엉망이 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git 기능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간단한 것만 쓰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찾아보니 Rebase 기능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Merge와 Rebase의 차이점을 정리하며 Rebase를 사용 했을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Merge.. 2022. 5. 13. Spring Data JPA - QueryDSL 쿼리 작성하기 Query 클래스 쿼리를 작성하기 이전에 몇 가지 인터페이스와 클래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JPQLQuery 인터페이스는 JPQL 쿼리를 위한 Query 인터페이스이며, JPAQuery 클래스는 JPQLQue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이며, 쿼리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역활을 합니다. JPAQueryFactory도 JPAQuery를 생성해주는 factory클래스입니다. 결국은 JPAQuery를 사용하든, JPAQueryFactory를 사용하든 JPAQuery를 사용하는건 마찬가지 이지만, JPAQuery를 생성할 때 누가 더 간략하나 정도의 차이가 있어 코드 가독성 측면에서 Factory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고, 많은 snippets 코드들이 Factory를 사용하므로 Factory를 사용하는.. 2022. 5. 13. Lombok 라이브러리 쉽게 쓰기! 인텔리제이 롬복 설치방법 1. shift 두번 누르기 -> plugins -> lombok 검색 2. shift 두번 누르기 -> annotation processors 검색 annotation processor를 enable 하게 하는 이유는 IDE 내부 컴파일러가 어노테이션을 컴파일할 때 Lombok의 어노테이션을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Getter/@Setter 롬복은 주로 어노테이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여러 어노테이션이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쓰는 어노테이션은 아무래도 @Getter/@Setter 일 것입니다. 말 그대로 VO 나 DTO 따위의 클래스의 Getter / Setter 메소드를 정의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실제 이클립스/인텔리제이의 자동생성 기능이 있지만 굉장히 많.. 2022. 5. 13.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9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