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udy/Java97 [Java] 빌더 패턴(Builder pattern)을 써야하는 이유, @Builder 빌더 패턴(Builder pattern)이란? 객체를 정의하고 그 객체를 생성할 때 보통 생성자를 통해 생성하는 것을 생각한다. Bag bag = new Bag("name", 1000, "memo"); 하지만 생성자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는데 몇 가지 단점이 있어 객체를 생성하는 별도 builder를 두는 방법이 있다. 이를 빌더 패턴이라고 한다. Bag bag = Bag.builder() .name("name") .money(1000) .memo("memo") .build();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빌더를 builder() 함수를 통해 얻고 거기에 셋팅하고자 하는 값을 셋팅하고 마지막에 build()를 통해 빌더를 작동 시켜 객체를 생성한다. 빌더를 써야하는 이유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 생성자말고 빌더.. 2023. 3. 23. [Java] Map보다 DTO 클래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Map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Map을 사용하면 너무 많은 단점들을 안게 되는 것 같아서, 왜 Map이 아닌 DTO 클래스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Map보다 DTO 클래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Map을 사용할 때의 단점 ] 컴파일 에러를 유발할 수 없음 String 텍스트를 Key로 사용함 가독성이 떨어짐 타입캐스팅 비용이 발생함 불변성을 확보할 수 없음 1. 컴파일 에러를 유발할 수 없음 Map의 Value는 Object 타입이다. 그리고 Object 클래스는 최상위 클래스이기 때문에 어떠한 데이터도 받아드릴 수 있다. Object를 사용할 때의 문제는 어떠한 데이터도 받아드릴 수 있기 때문에 타입 체크를 할 수 없다는 것 .. 2023. 2. 27. [용어 정리] Deploy의 의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8. [JAVA] Try-Catch문이란? 예외처리하기/예외던지기 Try-Catch문이란? 1)예외처리하기 Try-catch문은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구문이다. try-catch문의 구조 try { //예외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장 }catch(Exception1 e1) { //Exception1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지 위한 문장적는다. //보통 이곳에 예외메세지를 출력하고 로그로 남김. }catch(Exception2 e2) { //Exception2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지 위한 문장적는다. }catch(ExceptionN eN) { //ExceptionN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지 위한 문장적는다. }finally{ //예외발생여부에 관계없이 상항 수행되어야 하는 문장적는다. } 기본적인 try catch 구문의 구조이다. try 문에서 Ex.. 2023. 2. 7. 이전 1 2 3 4 5 6 7 8 ··· 2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