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 IntelliJ + Github 연동하기
[IntelliJ] IntelliJ + Github 연동하기
인텔리제이에서 내가 만들었던 프로젝트를 깃헙에 연동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알아보자.
▶ 1. Intellij Github 연동 설정
1) Git 실행 설정
- File >> Settings 클릭
![](https://blog.kakaocdn.net/dn/leOYL/btqDQsx5JV1/td0lrOEpNhhyDC3l4psaQ0/img.png)
- 설치했었던 Git의 실행파일 경로를 지정
( 혹시 Git이 설치 안되어 있다면 다음 내용 참고 - https://goddaehee.tistory.com/216)
![](https://blog.kakaocdn.net/dn/S4HoZ/btqDPMxeCJX/aJER4gdSwUsksuR5j0szyk/img.png)
2) GitHub 계정 연동
- GitHub과 IntelliJ 연동을 위해 기존에 생성하였던 GitHub계정을 등록 한다.
(혹시 GitHub 가입이 안되어 있는경우 다음 참고 - https://goddaehee.tistory.com/218)
![](https://blog.kakaocdn.net/dn/cWr9D3/btqDOIhKnPM/VmAbVsd9ePLZnak53zegQK/img.png)
- 계정 및 Password 입력
![](https://blog.kakaocdn.net/dn/dJE75H/btqDRLKe7zF/tZQpKIOnESyOVq4Usq9kLK/img.png)
▶ 2. Intellij Github 연동
1) 첫번째 방법 : 프로젝트 명으로 자동으로 Repository를 생성하여 Github 연동
- VCS >> Import into Version Control >> Share Project on Github 클릭
![](https://blog.kakaocdn.net/dn/dmhymk/btqDQtKBa2t/dAnm5GxKbpwccWd9YnvSdK/img.png)
- 최초 Commit
![](https://blog.kakaocdn.net/dn/cY7c9u/btqDRL4yjYJ/7xKjcdJ804ZBzUOrDoqSMK/img.png)
- 기존 프로젝트 명과 동일하게 Github과 연동된 것을 볼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0F4w8/btqDQ8y71ga/Wn1b9p4qI7jwRSZHXL1A9k/img.png)
2) 두번째 방법 :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생성하여 Github 연동
- Github Repository 생성
![](https://blog.kakaocdn.net/dn/boqA1s/btqDPLSIhcD/qMJT9i0yETy8RtsgqK3flk/img.png)
- VCS >> Import into Version Control >> Create Git Repository... 클릭
![](https://blog.kakaocdn.net/dn/2SCmI/btqDQSDkyYp/yzcASE0x7wg0bGhqlpD0r0/img.png)
- 원하는 프로젝트 선택
![](https://blog.kakaocdn.net/dn/D2g6B/btqDRxZKPdz/miPg7cOBYhT53P2IsUKipK/img.png)
- Project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 Git >> Add 메뉴 클릭
( Add를 통한 스테이징 영역 파일 추가 작업이다. ($git add [ <파일명> | * ])
( Commit 전 Add 를 통해 준비영역(Staging)에 코드를 저장하는 작업 처리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JaptX/btqDPYxvbP9/nTMsumDGfExc9ehfEsuQR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g3PCe/btqDQb4q7W4/QVWKTzKC6t8BMX7KSvgXkk/img.png)
- Project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 Git >> Commit Directory
(Commit을 통한 배포 확정 ($git commit -m "commit 설명"))
(Commit하여 Local Repository(Head) 에 코드를 저장하는 작업이다.
즉, 변경사항을 확정하여 Local 영역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ANPYS/btqDRv1XGZm/i9mc9zsKUbZPGdeTbiEnOk/img.png)
- 변경 파일의 Font-Color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Red - Workspace Files
Green - Staged Files
Blue - Modified Files
White - Commited Files
Gray - Deleted Files
![](https://blog.kakaocdn.net/dn/cLsIu4/btqDQtcGixb/QhGQcS26W8P3MjODxvPpVK/img.png)
- Project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 Git >> Repository >> Push
($gir remote add origin [원격서버주소])
(Local Repository => Remote Repository 로 소스를 발행하는 단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EiP57/btqDRxMevOx/WlWde9k1v8e5RYXtywQ5UK/img.png)
- Define remote를 클릭하여 좀전에 만들어 주었던 Repository 경로를 입력한다.
![](https://blog.kakaocdn.net/dn/Ip7QR/btqDQsx63Ma/p0q5oKL2en4NJPB4LHRhnK/img.png)
- 변경될 파일을 확인 후 Push 버튼을 클릭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dlajk/btqDO1IhKJj/dMVoQPqT7hTV3v5X9EpdKk/img.png)
※ 참고
- 혹시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READEME.md 파일을 생성했다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 하자.
![](https://blog.kakaocdn.net/dn/dSrs9Z/btqDQb4roi0/7GdGB91hRyWiS69r2bHKt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ePa1I/btqDRLcqdWC/613KuAMGG3G08Ta55yrP5k/img.png)
- 두가지 방법을 통해 GitHub과 로컬 프로젝트의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 3. Github Repository Clone
1) Clone을 통해 Repository를 가져오자.
- SVN의 CheckOut의 개념과 유사하다.
- Remote Repository의 소스 코드를 Local로 가져옴과 동시에 Local Repository를 생성한다.
- VCS >> Get from Version Control... 클릭
![](https://blog.kakaocdn.net/dn/bkfDCQ/btqDQtjxGMJ/wcLKnCEVPYW4t1JcmCxRAK/img.png)
- Repository URL을 통해 연동하거나, GitHub 계정의 프로젝트를 직접 선택하여 연동 가능하다. Clone 버튼을 클릭.
![](https://blog.kakaocdn.net/dn/bonSZx/btqDQSJ6Nsd/9Jfeit5rjAopZHHFRiSKnk/img.png)
이로써 간단하게 IntelliJ와 Github을 통해 프로젝트를 연동하는 방법들을 알아 보았다.
출처: https://goddaehee.tistory.com/249 [갓대희의 작은공간: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