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brew 설치 및 사용법
macOS를 새롭게 구입 또는 클린 설치를 하고 나서 가장 먼저 설치하는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많은 맥 유저분들이 아직 Homebrew를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익숙하지 않아서 많이 어렵게 느끼고 있는데요.
저도 또한 Homebrew가 낯설게 느껴지고 사용을 안 하고 있었는데 막상 사용해보니깐 엄청나게 간단하고 편했어요.
개발에 대해서 1도 모르는 초보자분들도 Homewbrew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게 "왜?" 좋은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 Homebrew(흠브류) 란?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터미널(Terminal)에서 명령어를 작성하여 자신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 삭제, 업데이트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개발에 대한 지식이 있으신 분은 yum, apt-get 등과 같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홈브류(Homebrew)를 왜 사용하나요?
Mac을 사용하시면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이것저것 설치하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보통 App Store 또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게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원치 않는 프로그램이 자신도 모르게 설치될 수도 있고 나중에 프로그램을 재설치, 삭제, 업데이트할 때 기존의 데이터가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서 성격에 따라 찝찝함을 느끼시거나 혹은 Mac이 버벅대는 경우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Homebrew"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없이 손쉽고 깔끔하게 프로그램을 설치, 삭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강력한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그래서 프로그램 사용이 많은 개발자가 손쉽게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개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초보자분도 쉽게 보면서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글을 작성했습니다.
지금부터 엄청나게 편리한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홈브류) 설치와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설명하기에 앞서 "macOS Mojave 버전 10.14"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설치했습니다.
1. Homebrew 설치하기
![](https://blog.kakaocdn.net/dn/b5opx8/btrFi9j38x4/JnFDU1Vo7iQyu8ZLItUYk0/img.png)
"command + 스페이스바" 키를 이용하여 Spotlight 검색창을 실행시켜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XNXWG/btrFi9xzbsl/Dp69etSsVk19sMQ3Ekz63k/img.png)
"터미널"을 검색 후 실행시켜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mLI58/btrFnAtrmxs/uT8yCIyTOoB7tcRdEDD2Kk/img.png)
"터미널" 창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으면 이제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Ybie/btrFiThqqi6/3Bl5cCAC5Haajh8sknMkf0/img.png)
"Homebrew" 사이트에 접속하여 빨간색 박스 안에 있는 명령어를 "command + C"키를 이용하여 복사하세요.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또는 위문장을 "command + C" 키를 이용하여 복사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Pu2As/btrFjYh1rg2/68WiWk1fP39r4CIKTBHEbK/img.png)
복사한 명령어를 "터미널" 창에 "command + V" 키를 이용하여 붙여 넣은 후
"return" 키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G7C9e/btrFjnIDEPi/ZCpG2ZVcu4enRSEK7Nn41k/img.png)
사진처럼 진행되고 마지막 문장 "Press RETURN to continue or any other key to abort"가 나오면
"return" 키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EBfE9/btrFi8Mb18r/T48X25vaFcS8v8Os2hyKy0/img.png)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그러면 자신의 Mac 로그인에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작성 후 "return" 키를 눌러주세요.
(비밀번호를 작성할 때 창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으므로 그냥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xo5T/btrFlEC5x5W/bDxZXE74v0pxWuZP17NL2k/img.png)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Homebrew" 설치가 완료된 거예요.
2. Homebrew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설치 전 준비
"Homebrew"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
"cask" 라는 패키지를 먼저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cask"는 Safari, Chrome, Word 등과 같이 그래픽을 통해 작업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패키지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1JUCJ/btrFjyKDet2/GNCOBCG5KHNJSF9DV7PVV0/img.png)
기존에 실행돼있는 "터미널" 창을 이용하거나 새롭게 창을 열어서
"brew install cask"라고 작성 후 "return" 키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j2Pzl/btrFmYagjc8/sL9R0j90Oqe82DRMPL6R50/img.png)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cask" 설치가 완료된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zFqYQ/btrFf3RIFcj/zPDw1k6NVCj4p2QEWG6wJk/img.png)
사진처럼 "brew list" 명령어를 이용해서
"cas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cask"가 없다면 다시 설치를 진행해주세요.)
3. Homebrew를 이용한 프로그램 설치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Mlv2W/btrFiVew70b/LIHZBJzKOTjG1imJOizc60/img.png)
"Homebrew"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전에
항상 "brew update"를 이용하여 새롭게 진행된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새롭게 진행된 업데이트가 있다면 자동으로 영어 문장들이 나오면서 설치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1eL1b/btrFlFhHFXE/8iCkKrZSuAieBVMeLca4Mk/img.png)
내가 사용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Homebrew"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지
"brew search [프로그램명]"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없을 경우 App Store 또는 해당 사이트를 통해 설치해야 합니다.)
저는 예시로 크롬을 설치해보겠습니다.
"brew search chrome"을 입력하여 설치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a9L4J/btrFiTochl6/xk5bNk3B9M31ojD8yOFnIK/img.png)
제가 찾는 크롬이 "Casks" 리스트에서 "google-chrome" 명칭으로 있는 걸 확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Cwfv/btrFjYPShts/J9PXHKdxpunxKl9IMh0Pr1/img.png)
확인된 프로그램 설치는 "brew cask install [프로그램명]"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예시로 chrome을 설치하기로 했으니,
"brew cask install google-chrome"을 작성 후 "return" 키를 눌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11x0/btrFmlC3Du8/zsdNQf9xLwx7kOpUYgoH5K/img.png)
사진처럼 "google-chrome was successfully installed!" 문장이 나왔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7j4cZ/btrFjxEW0Wt/5nvNye47ydQCetiuebeBBk/img.png)
"brew cask list"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된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크롬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게 확인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WsEvF/btrFjmCXvlN/aOaklOzwieWVVre7Kwb5D1/img.png)
Launchpad를 통해 확인해도 Chrome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네요.
이어서 Homebrew(홈브류)를 이용하여 설치된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설치 파일 다운로드 경로: /Users/whitepaek/Library/Caches/Homebrew/downloads/
( /Users/홈폴더명/Library/Caches/Homebrew/downloads/ )
4. Homebrew 이용한 프로그램 삭제 방법
Homebrew(홈브류)를 이용한 프로그램 삭제 방법은
홈브류(Homebrew)를 이용해서 설치한 프로그램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혹시 헷갈려 하시는 분을 위해서
다시 한번 "터미널" 창을 실행시키는 방법부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FApy/btrFjYWFSxS/iMjnSehhn65PkqRPf0DQ31/img.png)
"command + 스페이스바" 키를 이용하여 Spotlight 검색창을 실행시켜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F7yE1/btrFkYV6Pzt/2Mwid3N0t6tNQidv7haYak/img.png)
"터미널"을 검색 후 실행시켜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AS38V/btrFjz9Uscd/hy0I71BlbwXCsx2nd8Tpvk/img.png)
"터미널" 창이 실행되었다면
"brew cask list" 명령어를 통해서 삭제할 프로그램을 확인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Su1uZ/btrFdd79fcL/UC5iBUgmMYpRC2PoxzSwK1/img.png)
저는 예시로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karabiner-elements"라는 프로그램을 삭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cIOO/btrFjy4dNaS/uvDLhK9nXPYbqdlhupJD7k/img.png)
프로그램 삭제는 "brew cask remove [프로그램명]"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저는 예시로 "karabiner-elements" 프로그램을 삭제하기로 하였으니,
"brew cask remove karabiner-elements" 명령어를 입력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zs8m3/btrFf3Yvyvz/iAdmzjkpfgOMqNAkEW9yt0/img.png)
사진처럼 "Password"가 나오면
자신의 Mac 로그인에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입력 후 "return" 키를 눌러주세요.
(비밀번호를 작성할 때 창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으므로 그냥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16UV/btrFjXwBS2K/5ws5vBMz77TNiUadpCVQV0/img.png)
사진처럼 "Purging files for version 12.1.0 of Cask karabiner-elements" 문장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삭제된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FemZH/btrFkXvFGb8/d2MLscoPZ9AhZyuKmZkKSK/img.png)
"brew cask list" 명령어로
"karabiner-elements" 프로그램이 삭제되어 목록에서 사라진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inder -> 응용프로그램"과 "Launchpad"에서도 깔끔하게 삭제됩니다~^^
5. Homebrew 제거하기
![](https://blog.kakaocdn.net/dn/drygbZ/btrFkxxFriD/FWuzZHVPtLFzeyHHpvDK4K/img.png)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uninstall)"
위문장을 "command + C" 키를 이용하여 복사하고
"터미널" 창에 "command + V" 키를 이용하여 붙여 넣은 후 "return" 키를 눌러주시면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가 정상적으로 제거됩니다.
6. Homebrew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 정리
- brew ~ : 커맨드 라인 프로그램 (c, java, python 같은..)
- brew cask ~ : GUI 프로그램 (Safari, Chrome, Word 같은..)
brew update : 홈브류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brew upgrade [프로그램명]: 홈브류에 설치된 프로그램 최선버전으로 업데이트
brew search [프로그램명] : 홈브류를 통해 설치 가능한 프로그램 찾기
brew cask list : 홈브류에 설치된 그래픽을 통해 작업하는 프로그램 목록 (Safari, Chrom, Word와 같은 일반적인 앱)
brew cask install [프로그램명] : 프로그램 설치
brew cask remove [프로그램명] : 홈브류에 설치된 프로그램 삭제
brew cleanup : 업데이트 후 필요없는 이전 버전의 패키지 삭제
이상으로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홈브류)" 설치 및 제거와 사용법에 대한 설명이 끝났습니다.
'Study > 내가 정리하는 개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픽스 hotfix (0) | 2022.06.21 |
---|---|
맥에서 homebrew 설치 (0) | 2022.06.21 |
[Spring + JPA] Spring Data JPA (0) | 2022.05.09 |
[자바]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0) | 2022.05.09 |
[Swagger UI] Annotation 설명 (0) | 2022.05.09 |
댓글